분류 전체보기110 스프링 패키지 구조(Spring Package Structure) - 계층형 vs 도메인형 주절주절,,🗣 회사 프로젝트가 기존에는 모두 계층형이었으나, 이번에 한 프로젝트를 전체 리팩토링 하면서 도메인형으로 변경하게 되었다. 이로써 이제 계층형과 도메인형도 혼합되어 존재하게 되었는데, 앞으로는 모두 도메인형으로 바꿀까? 요즘 도메인형이 더 선호되는 것 같기도 하지만, 개인적으로 무조건 도메인형이 좋다고 생각되진 않는다. 그래서 나름의 기준을 가지기 위해 간단히 정리해보았다. 패키지 구성은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1️⃣ 계층형 2️⃣ 도메인형 계층형 ex) Application.java └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장점 해당 프로젝트에 이해가 상대적으로 낮아도 전체적인 구조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음 단점 디렉토리에 클래스들이 너무 많이 모이게 됨 모.. 2022. 5. 14. HTTP vs. HTTPS (HTTP와 HTTPS 차이점) HTTPS는 HTTP에서 보안이 강화된 프로토콜이다.. 이정도 밖에 모르는 상태였는데얘네를 좀 더 자세히 알 필요성을 느껴서 알아보고자 한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W3 상에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주로 TCP를 사용하고 HTTP/3 부터는 UDP를 사용하며, 80번 포트를 사용HTTPSHyperText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HTTP over TLS, HTTP over SSL, HTTP SecureSecure Socket = 보안 통신망월드 와이드 웹 통신 프로토콜인 HTTP의 보안이 강화된 버전통신의 인증과 암호화를 위해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 코퍼레이션이 개발했으며, 전자 상거래에서 널리 쓰임기존 HTT.. 2021. 4. 11. [Kubernetes] Pod ⚡️목표 Pod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기본적인 사용법을 익히고, YAML을 이용하여 설정파일을 작성해봅니다. Pod 쿠버네티스에서 관리하는 가장 작은 배포 단위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포함 쿠버네티스와 도커의 차이점 도커는 컨테이너를 만든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 대신 Pod를 만든다. 빠르게 Pod 만들기 kubectl run kubectl run echo --image ghrc.io/subicura/echo:v1 주의 ❗️ kubernetes v1.18 이상은 run 명령어가 Pod를 만들지만, v1.17 이하는 Deployment를 만든다. 생성된 Pod의 상태를 간략하게 확인할 수 있음 상태(STATUS)는 컨테이너가 정상적으로 생성되면 Running으로 바뀌고 오류가 있다면 에러 상태를.. 2021. 3. 29. [Kubernetes] 기본 명령어 ⚡️ 목표: kubectl의 기본적인 사용법 익히기 kubectl의 역할 상태를 확인하고, 원하는 상태를 요청 컨테이너 로그도 확인하고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음 kubectl 명령어 명령어 설명 apply - 원하는 상태를 적용 - 보통 -f 옵션으로 파일과 함께 사용 get - 리소스 목록을 보여줌 describe - 리소스의 상태를 자세하게 보여줌 delete - 리소스 제거 logs - 컨테이너의 로그를 봄 exec - 컨테이너의 명령어 전달 - 컨테이너에 접근할 때 주로 사용 config - kubectl 설정 관리 상태 설정하기 (apply) 원하는 리소스의 상태를 YAML로 작성하고 apply 명령어로 선언 kubectl apply -f [파일명 또는 URL] 리소스 목록보기 (get) 쿠버네.. 2021. 3. 29. 이전 1 2 3 4 5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