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2

[Network] OSI 7계층 OSI 7계층은 컴퓨터를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들어봤을 네트워크 관련 개념이다. OSI의 약자는 Open System Interconnection으로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이며,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아래의 3가지 개념을 알아보자! 1. OSI 7계층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2. 각 계층의 역할이 무엇인지 3. 각 계층에 속하는 프로토콜의 예는 무엇인지 📌 우선 7계층이 어떤 계층, 어떤 순서로 이루어져있는지 알아보자. 7계층 응용 계층(Application) 6계층 표현 계층(Presentation) 5계층 세션 계층(Session) 4계층 전송 계층(Transport) 3계층 네트워크 계층(Network) 2계층 데이터 링크 .. 2020. 9. 3.
[Java] 접근 제어자 정리(private, default, protected, public) 오늘은 자바의 접근 제어자(Access Modifier)를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접근 제어자는 클래스, 변수, 메서드 앞에 붙으면서 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해주는 예약어입니다. 자바의 접근 제어자는 4가지가 있습니다. private 같은 클래스 내에서 사용 가능 default 같은 패키지 내에서 사용 가능 protected 같은 패키지 내에서 사용 가능, 상속 관계일때 다른 패키지에서 사용 가능 public 같은 프로젝트 내에서 사용 가능 아래와 같은 패키지 구조가 있을때, 위의 표를 적용해볼까요❓ 1. A에서 private 변수를 만들면 A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2. A에서 default 변수를 만들면 A, B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3. A에서 protected 변수를 만들면 A, B, C에서 사.. 2020. 5. 3.